공부방(10)
-
한숲지역아동센터_다큐. interviewee 최순미
안양의 한숲지역아동센터 아이들과 9월부터 함께 만들어가고 있는 인터뷰 다큐 interviewer 강다정 interviewee 최순미(엄마) 놀다가 함께하지 않은 채 멋지게 인터뷰를 마치고 온 다정이의 영상을 간단히 살펴보았습니다. 다정이와 단 둘이 앉아있던 자리가 흥미로웠는지 아이들이 하나, 둘, 모여들었습니다. 다정이의 쌍둥이 남매인 태원이. 다정이는 함께 영상을 보는 내내 즐겁게 여러가지 부연설명을 해 주었습니다. 엄마는 주무시다 일어난 얼굴이라든지, 조금 있다가 이런저런 말을 할 거라든지, 뭐 그런 이야기들 말이죠. 인터뷰어가 될 마지막 아이는 예지입니다. 다큐프로그램도 어느새 마지막 하루를 남겨두었네요.
2011.12.20 -
한숲지역아동센터_다큐. interviewee 정영자
안양의 한숲지역아동센터 아이들과 9월부터 함께 만들어가고 있는 인터뷰 다큐 오늘의 인터뷰어는 아연이입니다. 힝상 아연이의 오빠인 효석이와 함께였었는데 어디론가 놀러 가 버린 효석이 대신 막내동생 원찬이와 그 친구도 함께했습니다. 공부방을 벗어나 버스를 타고 아연이네 집으로 향했습니다. 바로. 아연어머님을 인터뷰하기 위해서입니다. 집에 도착하자 반갑게 맞아주신 아연어머님. 항상 일이 많아 바쁘신 분이라 매우 피곤 해 보이셨지만 아주 흔쾌히 인터뷰에 응해 주셨습니다. 아연이는 질문지에 정신이 팔려 질문을 해 놓고도 제대로 귀에 들어오지 않는 듯 했지만 이전보다 더 크고 명랑한, 그리고 약간 어리광이 섞인 목소리를 들려주었답니다. 인터뷰가 끝난 후 어머님의 일상을 기록하기 위해 아연이에게 캠코더를 맡기고 저희..
2011.12.19 -
한숲지역아동센터 다큐_여덟번째, 아홉번쩨
안양의 한숲지역아동센터 아이들과 9월부터 함께 만들어가고 있는 다큐멘터리 여덟번째날입니다. 지난 주 열이 펄펄 끓던 태민이는 한결 가뿐해진 모습입니다. 또 예전처럼 시끌벅적하게 맞아주네요. 지난시간 디지털카메라로 찍어 온 영상을 같이 보기로 합니다. 아이들은 지난 일주일 간 공부방에서 만나는 사람들에게 '엄마'에 대한 인터뷰를 했습니다. 공부방 친구에게, 동생들이게, 그리고 선생님에게도 직접 써서 준비한 질문지를 들고 인터뷰를 합니다. 다 함께 그동안 찍은 영상을 보는 것이 부끄러울 줄 알았는데 그렇지도 않네요. 시간이 부족해서 찍어 온 영상들을 다 보지 못하자 지훈이는 자기껀 꼭 봐야한다고 적극적으로 나서기도 했습니다. 다큐 프로그램 하면서. 처음 보여 준 적극적인 지훈이 모습이었지요. 다시 돌아 온 ..
2011.11.01 -
#2. 4월13일_아동복지교사 기초심화과정_문화예술교육 특강
아래 사진은 모둠별로 완성된 사진입니다. 클릭! ->사진 내려받기 아동복지교사 기초심화과정_문화예술교육 특강 포스팅은 여길 참고해주세요 : ) [미디어교육/매개자] 아동복지교사 기초심화과정 문화예술교육 특강 #2. 땅바닥 사진 찍기 #3. 내인생 가장 결정적인 순간 국토대장정 낚인사랑 미팅 사람되다 회심 연예시절 최대사건
2011.04.15 -
한숲지역아동센터 동네탐험 첫번째시간
놀다와 동네탐험으로 인연을 맺게 된 한숲 지역아동센터 입니다. 한숲 지역아동센터는 안양시 만안구 안양동 위치해있습니다, 5.6학년 13명의 아이들과 함께 동네탐험을 12차시로 진행하게 됩니다. (정문을 찍으려 할때 몇몇의 아이들에게 경계심 가득찬 눈빛으로 누구신데 찍으시냐는 질문을 받고 들어가게 되었네요. 크 ) 한숲 아이들의 모습입니다. 5~6학년 아이들이라 제법 의젓한 모습도 보이네요- 첫 만남. 첫 인사. 약간의 경계심과 호기심으로 시작한 분위기를 함께 풀어가볼까요- 한숲지역아동센터 동네탐험 담당 깡지샘의 인사로 수업을 시작합니다. 우리가 처음 만났을때, 서로에 대해 무지해- 벌어지는 실수를 최소화 하고, 앞날의 관계를 더욱 쫀득하게 하기위하여 함께 이야기를 나누는 시간. 참 과 뻥. 의아한 표정으..
2011.03.30 -
단대 우리지역아동센터 어린이 영화아카데미 다섯번째시간!
단대우리지역아동센터에서의 다섯번째 시간!! 전날에 이어 오늘도 이야기를 만드는 작업입니다. 본무와 규리는 학교에서 수련회에 가고 승겸이는 우리나라와 온두라스의 축구경기에서 온두라스 선수와 함께 입장하러 갔다지요. 그래서 조금은 허전했지만 남은 친구들와 으쌰아~ 기운을 내 봅니다. 이야기를 만드는 작업은 마냥 즐겁지만은 않습니다. 밖에 나가 노는 것도 아니고, 캠코더나 마이크 등을 만져보며 신기해 하지도 못하죠. 대신 머리를 쥐어짜며 새로운 이야기를 만들어 내야 하는 과정이니 어렵기도 하고, 울상이 되기도 했지만 진지한 모습도 보여주며 순간순간 떠오른 이야기를 뱉어냈습니다. 한마디. 또 한마디. 던진 단어, 기억, 소재들이 모이고 또 다듬어져 어느정도 이야기의 틀을 갖추어졌을 때. 본격적인 콘티작업에 들어..
2011.03.26